화상
가벼운 화상, 어떻게 치료할까요?
일광화상, 저온화상 등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화상은 가려움증을 동반합니다. 하지만 화상 부위를 긁는 행동은 피부 벗겨짐과 따가움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가려움증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판텐®연고는 햇볕에 탄 데(일광 피부염)나 다양한 생활 속 화상으로 인한 피부 질환에도 효과가 있습니다.1
화상 치료에 효과가 있는 비판텐®연고!2
화상 피부에 덱스판테놀(프로비타민 B5)*이 함유된 비판텐®연고 도포 시, 가려움 증상이 감소하였습니다.2

Study design2:비판텐®연고의 상처(화상, 궤양 포함)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대조군, 이중맹검, 개체 내 비교 연구. 화상 으로 피부 이식을 받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비판텐®연고 또는 덱스판테놀이 함유되지 않은 연고(대조군)를 도포하여 치료 7일, 14일 후에 가려움, 근육이 당겨서 통증이 유발되는 견인통, 기능적 장애, 피부 민감도를 환자가 평가하고 생체 내에서 해당 부위의 미세순환, 온도, 역학적 특성을 측정함.
*덱스판테놀(프로비타민 B5)은 피부 조직의 재생을 도와 피부 회복 촉진에 도움을 줌4

화상의 원인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3
1. 일광화상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고도의 발열에 순간적으로 접촉 또는 노출됨으로써 발생하는 경우로 주로 1도 화상이 많습니다.
2. 열탕화상
뜨거운 물이나, 국물, 식용유, 수증기 등에 의하여 화상을 입는 경우로 주로 2도 화상이 많으며, 어린이가 많이 입게 되는 화상입니다.
3. 접촉화상
뜨거운 철판, 다리미, 전기장판 등에 피부가 장시간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화상으로 대부분의 경우, 3도 화상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화상을 입었을 경우 해결 방법
아래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4
- 화학 약품 또는 전기에 의한 화상
- 하얗거나 까맣게 된 화상
- 손, 팔, 발, 다리, 얼굴 혹은 생식기에 물집이 생긴 화상
- 얼굴에 연기가 많이 나고 안면에 화상, 콧물,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손바닥보다 큰 화상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아래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3
1. 원인 물질 제거
- 옷에 불이 붙었다면, 바닥에 구르며 불을 끕니다.
- 옷에 뜨거운 음식물이나 화학약품을 쏟았다면, 즉시 옷을 벗습니다.
- 금속 장신구(반지, 시계 등)는 열전도율이 높으므로 즉시 제거합니다.
- 옷이 몸에 붙었다면 억지로 제거하지 않고 병원에서 제거합니다.
2. 상처 부위 식히기
- 흐르는 수돗물에 10~15분 충분하게 열기를 식혀 상처가 깊어지는 것을 막습니다.
- 상처 부위에 얼음을 사용하는 것은 상처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20분을 넘기지 않도록 합니다.
3. 상처 부위 씻어내기
- 차가운 물로 상처 부위를 씻어냅니다.
- 감염의 위험이 있으니 민간요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4. 상처 부위 감싸기
- 세균 감염 방지를 위해 깨끗하고 마른 수건으로 상처 부위를 감쌉니다.
- 화상 부위보다 넓은 수건이나 천을 사용하고, 상처를 세게 조이지 않도록 합니다.
- 솜은 상처에 붙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방심한 틈에 생긴 화상이 걱정된다면, 가까운 약국에서 ‘비판텐®연고’를 만나보세요! 메뉴에서 ‘비판텐®연고’를 클릭하시면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eferences 1. 식품의약품안전처 비판텐®제품설명서(2019.02.18).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0510975 accessed on Sep 2020. 2. Girard P, et al. Effect of bepanthen ointment on the graft-donor site wound-healing model: Double-blind biometrological and clinical study, with assessment by the patients, versus the vehicle. Les Nouvelles Dermatologiques. 1998;17:559-570. 3. 질병관리청. 화상 예방 및 응급처치 가이드북. 2016. 4. National Health Service (NHS). Burn and scalds. Available at: https://www.nhs.uk/conditions/burns-and-scalds/ accessed on Sep 2020. L.KR.MKT.10.2020.12076